This video introduces the research on flexible neural interfaces based on liquid metal [Nat. Commun. 15, 1772 (2024)]. The innovative approach aims to significantly improve brain-device connectivity, paving the way for advanced neurological treatments and enhanced bio-integration technologies.
유연한 액체금속 신경 인터페이스 연구가 연합뉴스TV에 소개되었습니다. 생체적합성 연성 전자소재를 바탕으로, 차세대 뇌–기계 통합 기술의 발전 및 뇌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This video introduces the research on flexible neural interfaces based on liquid metal [Nat. Commun. 15, 1772 (2024)]. The innovative approach aims to significantly improve brain-device connectivity, paving the way for advanced neurological treatments and enhanced bio-integration technologies.
유연한 액체금속 신경 인터페이스 연구가 YTN사이언스에 소개되었습니다. 생체적합성 연성 전자소재를 바탕으로, 차세대 뇌–기계 통합 기술의 발전 및 뇌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nterview on "BRIC's 'People of Korea who shine in science'
한빛사 인터뷰입니다.
Featuring research on skull‑printed electronics and soft neural interfaces. The research achieved more than eight months of stable neural signal detection in mice, leveraging wireless circuitry printed directly onto the skull to integrate soft liquid metal electrodes with minimal tissue disruption.
두개골 상 3D 인쇄 전자회로 및 유연 액체금속 뉴럴 인터페이스 연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쥐 실험에서 8개월 이상 안정적인 신경신호 기록에 성공했으며, 두개골 위에 직접 프린팅된 무선회로와 뇌내 미세 생체전극을 이용한 시스템입니다.
In celebration of AAPI Heritage Month 2022, I planned and participated in a chamber orchestra performance held at Harvard University. The event featured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music, fostering cross-cultural appreci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2022년 AAPI 문화유산의 달을 맞이하여, 챔버 오케스트라 공연을 기획하고 참여하였습니다. 전통과 현대 한국 음악이 어우러진 본 공연은 문화 간 교류와 커뮤니티의 화합을 위한 특별한 무대였습니다.
This presents a work involving a novel 3‑D interconnection technology for wearable bioelectronics [Nano Lett. 19, 4866 (2019)]. The team developed ultra-thin (~5 µm), stretchable metal composites—carbon nanotube–liquid-metal blends stabilized with platinum—that can be printed at room temperature and conform seamlessly to soft skin-like substrates. This innovation enables flexible, high‑resolution electrode wiring without heat or pressure, potentially revolutionizing wearable device design and comfort.
웨어러블 바이오일렉트로닉스를 위한 3D 인터커넥션 기술: 백금으로 안정화된 탄소나노튜브–액체금속 복합체를 사용해 직경 약 5 µm의 고해상도, 고신축성 전극을 실온에서 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열이나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고해상도 전기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웨어러블 및 생체 전자소자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covers a method for high‑resolution, reconfigurable 3‑D printing using liquid metals [Sci. Adv. 5, eaaw2844 (2019)]. The technique achieves a minimum line width of approximately 1.9 μm and enables free-standing 3D conductive structures. Applications demonstrated include tunable antennas and mechanical switches, illustrating potential impact in stretchable electronics and wearable bio-devices.
본 기사는 액체금속 기반 고해상도 3D 프린팅 기술을 다룹니다. 약 1.9 µm의 선폭으로 실온에서도 열이나 압력 없이 자유형 3D 전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본 기술은, 튜너블 안테나 및 기계식 스위치 등으로 응용 가능성을 증명했습니다. 유연 전자기기 및 웨어러블 바이오 기기 분야에 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